IT Editorial/IT World 6

30대 직장인 후배가 꼰대 직장 선배님들께 드리고 싶은 말

기성세대 '현재 사회를 이끌어 가는 나이가 든 세대'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대중들에게는 나이가 들고 이미 사회에서 안정적 지위를 확보해놓은 세대를 뜻한다. 주로 40대~60대 후반이 주류이다. 기성세대 직장인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저는 30대 후반의 나이로 개발을 하고 있는 어느 한 직장인 입니다. 오늘은 선배님들께 드리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서 감히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선배님들도 느끼시겠지만 과거 10년 전과 현재를 비교해보자면,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하는듯 합니다. 예전에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려면 TV와 신문을 보는 수밖에 없었습니다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세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누구나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이를 통한 많은 볼거리들로 인해, 한쪽으로 편향된 정보만 얻을..

IT 시니어개발자, 정규직 vs 프리랜서 중 선택을 못하겠다면?

직업을 개발자로 진로를 정한 후, 회사에 정규직으로 입사하고 4~5년차 정도가 되면 프리랜서를 고민하는 개발자들이 꽤 많이 보인다. 사실대로 얘기해보자. 프리랜서를 고민하게 되는 이유는 아마도 아래와 같은 생각이 대부분일 것이다. 1. (같이 일하는 프리랜서는 나보다 못하면서 돈을 두배나 더 받네, 나도 프리랜서할 수 있겠다.) 2. (프리랜서들은 돈도 많이 받으면서 퇴근은 정규직보다 일찍 하네, 상대적으로 책임감은 적으니 말이야...) 3. (친구 왈 : 나 프리랜서로 전향하니까 전 회사보다 돈 훨씬 많이 받아. 넌 거기서 뭐하냐?? 빨리 안나오고) 4. (저 프리랜서는 일정이 지연되서 개발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계약이 끝나서 나가네... 그 일은 나에게 인수인계되겠지? 부럽다...) - 물론, 1번과 ..

IT 프리랜서 유의사항

IT 개발자의 경우, 현재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거나, 직장 소속이면서 프리랜서로의 전향을 고민중인 사람들이 꽤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IT 프리랜서의 경우 현 시점 기준으로 수요가 꽤 많이 있기 때문에, 타 직업의 프리랜서와 달리 일자리가 많고 정규직 대비하여 꽤나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가 프리랜서로 일을 해본 결과, 아래에서 서술한 사항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다면, 어느 순간부터는 개발자로서 발전이 없고 제자리걸음에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로 인해 실제 경력 대비 더 적은 돈으로 계약하게 되거나, 많은 프로젝트 구인 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 선택지는 현저히 작아질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나이를 더 먹거나, 연차가 점점 쌓일 수록 개발자로서의 걱정과 고민은 ..

SI와 SM 업무 차이점

IT 신입생이거나, SI와 SM 중 어느 한쪽을 경험을 해보지 못한 경력자들은 이 두가지 분야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많이 궁금할 것이다. 첫 직장을 선택하거나 다른 회사로의 이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이 두 업무의 차이점을 알고 해당 업무를 하는 곳으로 이직한다면, 본인에 성향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는 곳에 들어갈 확률이 높다. 회사를 선택하고 있을 때 대부분 구인광고에 안내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기재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 면접자리에서 꼭 물어보도록 하자. SI와 SM을 모두 경험해본 사람으로서 두가지의 차이점을 아래와 같이 서술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SI와 SM 업무 방식은 검색하면 많이 나오므로, 각각의 장단점과 오해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SI (System Integrati..

어떤 개발언어를 배워야 할지 모를때 (언어 선택시 중요한 하나의 지표)

아래 내용은, 흥미가 가서 배워보고싶은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에 대한 기준이 아닌, 당장 생업을 위해 학습해야 하는 개발 언어를 선택하는 신입 개발자 혹은, 즉시 또하나의 무기가 필요한 경력 개발자들을 위해 선택장애를 줄일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을 설명하는 내용임을 미리 밝혀둔다. 이미 알고있는 사람도 있을테지만, 나는 이 방법을 처음 들었을때 '아! 이걸 왜 생각 못했지?'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나와 같은 사람들이 또 있을것이라 기대하며 여러분들에게 소개한다. 개발을 하다보면 나의 내적 심경 변화가 아닌, 내가 어찌 할 수 없는 사회적인 외적 변화로 인해 원치 않는 선택을 해야 할 때가 있다. 예를들어, 본인이 현재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가 하나일때, 그리고 그 언어가 IT 시장에서 사장될 위기..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따는게 좋을까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필요한 이유)

많은 IT 주니어 개발자들. 특히 취업을 목전에 두고 있는 IT 예비 신입생들이 많이 궁금해하고, IT 관련 카페에 잊을만 하면 또다시 올라오는 질문중에 하나가 이것이다. "정보처리기사가 취업에 도움이 되나요?? 정처기 취득해도 무쓸모 아닙니까??" 이런 질문을 하는 IT종사자들은 대개 다음과 같은 이유로 고민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1. 당장 취업을 해야 하는데 정처기가 없어서 걱정이 된다. 2. 정처기 공부할 시간에 실무에 도움이 되는 공부를 하는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3. 정처기 말고 실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자격증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대부분 위 세가지 이유로 정보처리기사 취득 여부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며, 그 고민이 이해가 되는 이유들이다. 정보처리 기사 자격증은 국가..

1
반응형